2025.03.11 (화)

  • 맑음동두천 0.8℃
  • 맑음강릉 9.9℃
  • 맑음서울 4.6℃
  • 맑음대전 3.6℃
  • 맑음대구 3.6℃
  • 맑음울산 4.6℃
  • 맑음광주 5.8℃
  • 맑음부산 8.5℃
  • 맑음고창 1.2℃
  • 구름많음제주 10.5℃
  • 맑음강화 -0.7℃
  • 맑음보은 0.0℃
  • 맑음금산 0.1℃
  • 맑음강진군 2.5℃
  • 맑음경주시 1.6℃
  • 맑음거제 4.4℃
기상청 제공

생활상식

방송통신위원회, '다크패턴'을 구분하는 기준이 있을까?

 

인씨엠뉴스 노예은 기자 | 다크패턴은 크게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!

· 반복적 간섭, 경로 방해, 규정 숨김, 인터페이스 조작, 행동 강요, 사회적 증거 조작

 

■ 다크패턴의 주요 유형 분류

 

· 반복적 간섭 (Nagging)

 동일한 상호작용을 반복하여 선택을 유도

- 서비스 리뷰 팝업 창 반복

 

· 경로의 방해 (Obstruction)

 작업흐름을 차단하여 선택을 방해

- 어려운 해지, 가격비교 방지

 

· 규정의 숨김 (Sneaking)

 불리한 정보를 숨겨 선택을 방해

- 장바구니에 몰래 끼워넣기, 숨겨진 비용 등

 

· 인터페이스 조작 (Interface Interference)

 목표 달성이 어렵도록 시각적으로 인터페이스 조작

- 숨겨진 정보, 사전선택, 감정자극 등

 

①경로오도: 이용자의 시선을 한쪽에 집중시켜 선택을 유도

②긴급성: 마감기한을 조작하여 선택을 유도

③희소성: 희소성을 조작하여 선택을 유도

 

· 행동의 강요 (Forced Action)

 어쩔 수 없이 특정 조치를 선택하도록 강요

- 개인정보 공개 유도

 

· 사회적 증거 조작 (Social Proof)

 경험·후기를 조작하여 제공

- 출처가 불분명한 후기